[부동산 이기자-50]지분형 모기
페이지 정보

본문
[부동산 이기자-50]지분형 모기지 쉽게 보기공유형 모기지와 차이점은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뉴스1]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10년간 급상승 했습니다. 청년과 신혼부부, 사회초년생이 주로 관심 갖는 소형 아파트값도 마찬가지입니다. 서울의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014년엔 2억 9869만원이었는데 2024년엔 7억 9634만원으로 뛰었습니다. 25평을 넘지 않는 소형 단지의 평균 가격이 10년 사이 167%나 오른 겁니다. 이는 부동산 정보업체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수치입니다.소형 아파트값도 8억원에 달하니 대출 없이는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청년층이 ‘영끌족(영혼까지 끌어 대출)’으로 내몰리고 있죠. 정부 입장에서도 가계 대출이 계속 늘어나는 건 부담입니다. 그래서 최근 금융당국 수장들이 한 가지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정부와 개인이 집을 함께 구매하면 어떠냐는 겁니다. 이른바 ‘지분형 모기지’ 제도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지분형 모기지란···정부와 함께 집 구매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지난달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분형 모기지에 대한 구상을 밝히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지분형 모기지는 쉽게 말해 정부와 공동 명의로 집을 사는 겁니다. 예를 들어 6억원짜리 아파트를 산다고 가정해볼까요. 내 돈은 1억원을 내고 은행에서 2억원을 대출 받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3억원은 주택금융공사가 지분 투자 형태로 참여해 대금을 치르는 식입니다. 정부 지분이 절반인거죠.대신 나중에 집을 팔 때도 정부와 수익 또는 손실을 나눠야 합니다. 만약 집값이 오른다면 정부가 투자한 지분 비율만큼 차익을 가져가는 겁니다. 앞서 언급한 6억원짜리 아파트를 7억원에 팔았다면 1억원의 차익이 생기게 되는데요. 정부가 지분 절반을 가졌으니, 1억원 중 5000만원을 가져가는 거죠. 물론 아직은 이 같은 구상 정도만 제시된 상황입니다. 누가 어떤 주택을 살 때 이 제도를 적용할 건지 세부적인 내용은 나오지 않았습니다.목돈 적어도 주택 매수...사실상 ‘월세’는 내야개인 입장에서 장·단점을 알아볼까요. 일단 목돈을 충분히 마련하지 않아도 집을 살 수 있는 게 최대 장점입니다. 집을 오롯이 쓰며 안정적으로 오래 거주할 수 있죠. 다[부동산 이기자-50]지분형 모기지 쉽게 보기공유형 모기지와 차이점은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뉴스1]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10년간 급상승 했습니다. 청년과 신혼부부, 사회초년생이 주로 관심 갖는 소형 아파트값도 마찬가지입니다. 서울의 전용면적 60㎡ 이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014년엔 2억 9869만원이었는데 2024년엔 7억 9634만원으로 뛰었습니다. 25평을 넘지 않는 소형 단지의 평균 가격이 10년 사이 167%나 오른 겁니다. 이는 부동산 정보업체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수치입니다.소형 아파트값도 8억원에 달하니 대출 없이는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청년층이 ‘영끌족(영혼까지 끌어 대출)’으로 내몰리고 있죠. 정부 입장에서도 가계 대출이 계속 늘어나는 건 부담입니다. 그래서 최근 금융당국 수장들이 한 가지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정부와 개인이 집을 함께 구매하면 어떠냐는 겁니다. 이른바 ‘지분형 모기지’ 제도입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지분형 모기지란···정부와 함께 집 구매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지난달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분형 모기지에 대한 구상을 밝히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지분형 모기지는 쉽게 말해 정부와 공동 명의로 집을 사는 겁니다. 예를 들어 6억원짜리 아파트를 산다고 가정해볼까요. 내 돈은 1억원을 내고 은행에서 2억원을 대출 받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3억원은 주택금융공사가 지분 투자 형태로 참여해 대금을 치르는 식입니다. 정부 지분이 절반인거죠.대신 나중에 집을 팔 때도 정부와 수익 또는 손실을 나눠야 합니다. 만약 집값이 오른다면 정부가 투자한 지분 비율만큼 차익을 가져가는 겁니다. 앞서 언급한 6억원짜리 아파트를 7억원에 팔았다면 1억원의 차익이 생기게 되는데요. 정부가 지분 절반을 가졌으니, 1억원 중 5000만원을 가져가는 거죠. 물론 아직은 이 같은 구상 정도만 제시된 상황입니다. 누가 어떤 주택을 살 때 이 제도를 적용할 건지 세부적인 내용은 나오지 않았습니다.목돈 적어도 주택 매수...사실상 ‘월세’는 내야개인 입장에서 장·단점을 알아볼까요. 일단
- 이전글Balance Of Nature Supplements Coupons - Updated Daily 2021 25.04.26
- 다음글Responsible For A Buy Driving License Online Budget? 10 Fascinating Ways To Spend Your Money 25.04.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